Seolleung_Jeongneung_28
UNESCO World Heritage,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Jeongneung(靖陵)
The Jeongneung (靖陵) is the royal tomb of the 11th King Jungjong (中宗, 1488-1544) of the Joseon Dynasty. Being the second son of King Seongjong, King Jungjong was installed as Prince Jinseong in 1494. Prince Jinseong raised a revolt in 1506 and ousted Prince Yeonsan and then, became a king. After the enthronement, King Jungjong tried to reform the disorderly administration of Prince Yeonsan and to realize his ideal politics of the rule of right. However, endless political disputes destabilized the royal court. In 1544, King Jungjong abdicated the throne in favor of the Crown Prince, King Injong, before he passed away.
June 10, 2015
Seolleung, Gangnam-gu, Seoul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Korean Culture and Information Service
Korea.net (www.korea.net)
Official Photographer : Jeon Han
-Related Articles-
-Cheong Wa Dae-
Royal tombs: places to reflect on history, relax
english1.president.go.kr/korea/korea.php?srh%5Bview_mode%...
-Korea.net-
-English-
Royal tombs: places to reflect on history, relax
www.korea.net/NewsFocus/Culture/view?articleId=128021
This official Republic of Korea photograph is being made available only for publication by news organizations and/or for personal printing by the subject(s) of the photograph. The photograph may not be manipulated in any way. Also, it may not be used in any type of commercial, advertisement, product or promotion that in any way suggests approval or endorsement from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조선왕릉
정릉(靖陵)
정릉은 조선 11대 왕 중종(中宗, 1488-1544)의 능이다. 중종에게는 3명의 왕후와 7명의 후궁이 있었으나 사후에는 어느 왕비와도 함께 있지 못하고 아버지와 어머니의 능인 선릉 옆에 홀로 묻혀, 조선시대의 몇 안되는 단릉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정릉의 상설은 성종의 선릉과 같이 『국조오례의』를 따르고 있다. 석양과 석호의 전체적인 자세는 선릉과 비슷하면서도 세부적인 표현에 있어서는 조금 더 사실적인 묘사가 돋보인다. 반면 전체적으로 형식화된 경향이 있다. 문무석인은 높이가 3m가 넘을 정도로 큰 편이다. 문무석인 얼굴의 퉁방울눈이 특이하며 코 부분이 훼손되고 검게 그을려 있어 정릉의 수난을 상기시켜 준다. 석호의 익살스러운 입 모양은 보는 사람을 흐뭇하게 한다.정릉의 원찰인 봉은사는 보우가 주지로 있던 사찰로, 794년 연회국사가 견성사(見性寺)란 이름으로 창건한 이후 1498년(연산군 4)에 중창하면서 봉은사로 개칭하였다.
2015-06-10
선정릉
문화체육관광부
해외문화홍보원
코리아넷
전한
-관련기사-
선•정릉, 도심 중심에서 역사를 뒤돌아보며 쉰다
www.kocis.go.kr/koreanet/view.do?seq=4079&page=1&...
Seolleung_Jeongneung_28
UNESCO World Heritage,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Jeongneung(靖陵)
The Jeongneung (靖陵) is the royal tomb of the 11th King Jungjong (中宗, 1488-1544) of the Joseon Dynasty. Being the second son of King Seongjong, King Jungjong was installed as Prince Jinseong in 1494. Prince Jinseong raised a revolt in 1506 and ousted Prince Yeonsan and then, became a king. After the enthronement, King Jungjong tried to reform the disorderly administration of Prince Yeonsan and to realize his ideal politics of the rule of right. However, endless political disputes destabilized the royal court. In 1544, King Jungjong abdicated the throne in favor of the Crown Prince, King Injong, before he passed away.
June 10, 2015
Seolleung, Gangnam-gu, Seoul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Korean Culture and Information Service
Korea.net (www.korea.net)
Official Photographer : Jeon Han
-Related Articles-
-Cheong Wa Dae-
Royal tombs: places to reflect on history, relax
english1.president.go.kr/korea/korea.php?srh%5Bview_mode%...
-Korea.net-
-English-
Royal tombs: places to reflect on history, relax
www.korea.net/NewsFocus/Culture/view?articleId=128021
This official Republic of Korea photograph is being made available only for publication by news organizations and/or for personal printing by the subject(s) of the photograph. The photograph may not be manipulated in any way. Also, it may not be used in any type of commercial, advertisement, product or promotion that in any way suggests approval or endorsement from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조선왕릉
정릉(靖陵)
정릉은 조선 11대 왕 중종(中宗, 1488-1544)의 능이다. 중종에게는 3명의 왕후와 7명의 후궁이 있었으나 사후에는 어느 왕비와도 함께 있지 못하고 아버지와 어머니의 능인 선릉 옆에 홀로 묻혀, 조선시대의 몇 안되는 단릉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정릉의 상설은 성종의 선릉과 같이 『국조오례의』를 따르고 있다. 석양과 석호의 전체적인 자세는 선릉과 비슷하면서도 세부적인 표현에 있어서는 조금 더 사실적인 묘사가 돋보인다. 반면 전체적으로 형식화된 경향이 있다. 문무석인은 높이가 3m가 넘을 정도로 큰 편이다. 문무석인 얼굴의 퉁방울눈이 특이하며 코 부분이 훼손되고 검게 그을려 있어 정릉의 수난을 상기시켜 준다. 석호의 익살스러운 입 모양은 보는 사람을 흐뭇하게 한다.정릉의 원찰인 봉은사는 보우가 주지로 있던 사찰로, 794년 연회국사가 견성사(見性寺)란 이름으로 창건한 이후 1498년(연산군 4)에 중창하면서 봉은사로 개칭하였다.
2015-06-10
선정릉
문화체육관광부
해외문화홍보원
코리아넷
전한
-관련기사-
선•정릉, 도심 중심에서 역사를 뒤돌아보며 쉰다
www.kocis.go.kr/koreanet/view.do?seq=4079&page=1&...